농사2 한국의 전통 민속 문화 중 노동과 관련한 정리 1. 농사와 농기구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한국의 전통 민속 문화 중 노동의 영역에서 우리 조상들이 사셨던 삶의 방식을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들이 역사의 현장에 되돌아가 그 시대의 민중의 삶을 살아보는 간접 경험을 하시길 바랍니다.^^ 노동의 영역 중 1.농사와 농기구, 2. 기술과 제품, 3. 시장과 상인, 4. 어구와 물고기 5. 사냥과 짐승 순서대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이 길지만 집중해서 읽으시고, 잘 따라와주세요!^^ 우리의 조상들은 일을 위해 놀았다고 할 정도로 일에 주력하였습니다. 그들은 놀이와 축제를 즐겼지만,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시기를 놓치지 않고 철저하게 해냈습니다. 부지런하면서 정직하게 살고자 했던 조상들의 지혜는 현대에 걸맞는 미덕으로 우리들이 계승하도록 해야겠습니다.^.. 2020. 4. 28. 안녕하세요! 수필집 <농부되길 잘했다> 독서 후기를 포스팅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제가 시골로 귀농하셔서 30여 년 간 농사와 축산업을 하신 양기원씨의 수필집 의 독서 후기를 포스팅합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실제 농업과 축산업에 종사하시는 농부의 수기를 접하면서 낭만적으로 여겨지는 농촌 생활이 결코 쉽지 않은 일임을 실감해볼 수 있었어요.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그의 시 '진흙 시간의 두 뜨내기 일꾼'에서 '내 인생의 목표는 도락과 생업을 합일시키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 책의 저자는 문학(독서 및 수필집 쓰기)과 농업을 통해 이 목표를 이루고자 했고, 그것이 그의 귀농 동기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그는 이십대 초반에 귀농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그는 젊은 나이에 귀농을 해서 힘든 농사일과 땅과 자본, 그리고 노동력을 모으는 자금의.. 2020. 4.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