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제도(drawing)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을 써보겠습니다.
제도(drawing)는 건축물이나 제품 생산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모두 기입해 도면으로 만드는 일입니다. 건축물을 비롯해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생활 용품을 만들거나 개선할 때 생각한바를 생산자에게 언어로 표현해 전달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도면을 이용합니다.
설계자는 자신이 생각한 물체를 만들 때 필요한 정보를 선이나 기호 또는 문자로 표현한 도면을 만들어서 제품 생산자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도면을 읽는 사람 누구나 똑같은 견해로 읽을 수 있도록 객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 나라는 한국 산업규격(KS)으로 각 공업 부문 전반에 공통되는 기본 제도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도는 설계하는 대상물에 따라 크게 건축제도, 기계제도, 전기제도로 나뉩니다. 건축제도는 건설 계획과 설계에서 공간이나 건축물을 도면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건설설계제도라고도 합니다. 기계제도는 기계나 그 기계 부품의 구조, 배치, 치수, 재료, 공작 방법 따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기제도는 전기기계를 만들거나 전기시설을 할 때 접속, 배선 따위를 도면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도면에 들어가는 내용을 알아봅시다. 제도는 물체의 생김새를 보여주는 점에서 스케치와 같습니다. 하지만 제도의 도면에는 물체의 모양, 크기, 각도 따위 모든 측정값을 정확하게 기록합니다. 또한 도면에는 물건을 생산할 때 필요한 지시사항까지도 기입합니다. 예를 들어 기어를 만들기 위한 도면에는 기어의 정확한 크기, 재료뿐만 아니라 열처리 방법, 표면처리 방법, 금속 덩어리에서 기어를 가공할 기계공구의 종류 따위를 기록합니다.
도면을 만들 때에는 물체의 모양을 선으로 나타내고, 크기와 가공 방법 따위는 문자와 기호로 나타냅니다.
-문자와 선/ 제도에서 사용하는 문자에는 한글문자, 영문자, 숫자 따위가 있습니다. 문자는 도면에 기입할 때 왼쪽에서부터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하며, 알아보기 쉽게 씁니다. 한글문자는 주로 고딕체로 수직이 되게 씁니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며, 영문자와 숫자는 고딕체로 수직 또는 오른쪽으로 15도 기울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문자의 크기와 굵기는 도면 크기와 기입할 곳의 위치를 생각해서 알맞게 쓰며, 한 도면에서는 문자 높이를 같게 하고, 용도에 따라 같은 크기를 씁니다.
선은 물체를 나타내는데, 같은 종류의 선 굵기는 한 도면에서는 통일해서 다른 종류의 선과 구별되도록 명확히 그려야 합니다. 모양을 나타내는 실선의 굵기는 0.3~0.8mm이고,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해칭(hatching)선은 0.2mm 이하로 합니다. 파선은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으로, 실선 굵기의 1/2로 하며 쇄선은 중심선, 회전체 단면의 외형선, 절단선, 경계선, 기준선 따위에 사용하고 굵기는 실선의 굵기와 같게 합니다.
-치수와 기호/ 치수는 물체의 기능, 제작, 조립 따위에 필요한 수치입니다. 치수를 도면에 기입할 때 길이의 단위는 밀리미터(mm)로 하지만 기입은 하지 않습니다. 각도는 도 단위로 기입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분, 초를 기입합니다.
기호는 물체의 모양이나 재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치수 숫자 앞에 같은 크기로 기입합니다. 기호는 건축도면, 기계도면, 전기배선도면에 쓰이는 기호로 나뉩니다.
-척도/ 도면에 나타낸 물체의 크기와 실제 물체 크기의 비율입니다. 척도는 물체를 도면의 크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데, 현척, 축척, 배척이 있습니다. 현척은 물체의 크기를 실물의 크기와 같게 그리는 것이고, 축척은 실물보다 작게 그리는 것으로, 실물 구조에 따라 모양이나 치수가 명확히 나타날 수 있는 비율로 그려야 합니다. 배척은 시계에 있는 기어에 대한 상세도와 같이 작고 복잡한 부품을 그릴 때 실물을 확대해서 그리는 것입니다.
-표제란과 부품표/ 도면은 오랫동안 정리 보관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도면 오른쪽 밑에 표제란을 그립니다. 표제란에는 도면의 이름, 도면번호, 척도, 제도한 사람의 이름, 도면작성 기관명, 작성일 따위를 표로 만들어 써넣습니다. 또 도면의 오른쪽 위나 아래에는 부품표를 그리기도 하는데, 부품표에는 부품번호, 품명, 개수, 재질, 치수 따위를 기입합니다. 이 밖에 도면을 잘 보관하기 위해 도면인 제도용지에 테두리선을 그어 일정한 공간을 두는데, 이것은 도면의 가장자리가 쉽게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제도를 하며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양한 글쓰기 > 교양에 대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도(drawing)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3:제도기계와 제도의 역사 (0) | 2020.05.05 |
---|---|
제도(drawing)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2 (0) | 2020.05.05 |
기술(technology)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 (0) | 2020.05.03 |
기계(machine)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 (0) | 2020.05.02 |
즐거운 역사교양 시간, 과거 한국인의 노동 부문 중 사냥과 짐승편 (0) | 2020.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