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 즐거운 역사교양 시간, 과거 한국인의 노동 부문 중 사냥과 짐승편 안녕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역사교양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과거 한국인의 노동 부문 중 사냥과 짐승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전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산은 과거 한국인들의 생활기반의 주 무대였고, 과거의 생활을 위한 경제활동인 사냥이 시행되었습니다. 삼국시대까지도 많은 사람이 사냥을 생업으로 삼았었고, 주로 활을 사용했는데, 화살촉은 청석으로 만들고, 화살대는 싸리나무로 만들었습니다. 고려 및 조선시대에도 직업적인 사냥꾼이 있었는데, 1900년대 초기에 이들의 수는 많이 감소했고, 사냥은 일부 산간지역 주민들이 생활의 보탬을 위해서 행하거나 극소수의 직업적인 사냥꾼에 의해 명맥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 서양의 총포가 수입되자 사냥은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상류층.. 2020. 5. 2. 안녕하세요! 여러분, 어제 제가 병아리 3마리를 샀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가 얼마전에 병아리와 조류 키우는 커뮤니티인 생명충전소 네이버 까페에 가입했어요. 그리고 어제 제가 수원 장안구에 있는 병아리 분양 전문점인 생명충전소에 가서 부화한지 이틀 된, 갓 태어난 토종닭 병아리 3마리를 샀습니다.^^ 보통 아파트에선 병아리 잘 안 키우고, 전원주택에서 많이 키우는데(, 저도 나중에 전원주택을 구해 살아보고 싶은 생각이지만,)생명충전소 까페 회원분들은 아파트에서 꽤 많이 키우셔서 저도 한 번 도전해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어제 생명충전소에서 병아리와 함께 나중에 병아리가 닭이 되도 키울 수 있는 케이지를 하나 샀고, 고급 미세사료와 자동사료통, 조류용 모래와 모래통, EM(Effective Micro-organisms)용액, 외국에서 직접 수.. 2020. 5. 1. 한국의 역사 교양, 과거 한국인의 노동 부문 중 어구와 물고기에 대한 포스팅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도 우리 역사 교양을 갖추어보도록 합시다. 과거 한국인의 노동 부문 중 어구와 물고기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은 3면이 바다이지만 어업인구는 15~1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0.3% 정도입니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조선업과 수산업, 어업의 발전은 놀랍습니다. 100년 전 포구들은 근대적 시설을 갖춘 항구로 바뀌었고, 떼배나 범선은 자취를 감추었고, 대형어선과 원양어선과 같은 거대한 배들이 들락거립니다. 한국의 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엇바뀌어 흐르므로 어족이 풍부합니다. 철기시대 이래로 삼국을 거치며 어구의 철제화가 이루어지고, 조선술 및 항해술의 발전으로 해안을 중심으로 한 연안어업의 형태를 갖추었습니다. 또한 삼의 재배로 어망의 제작이 가능하여 어획고가 증.. 2020. 5. 1. 한국의 역사 교양, 과거 한국인의 노동 중 시장과 상인에 대한 포스팅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도 한국의 역사 교양을 갖추어봅시다. 오늘은 과거 한국인의 노동 중 시장과 상인에 대해서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말로 '저자'라고 하는 장터는 물건만 사고파는 곳이 아니었습니다. 시장은 거래활동의 주체이자 상업민속을 전승한 상인, 즉 민중들의 물자교환과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는 곳이었고, 국가의 정책이나 명령을 고시하고, 새로운 정보나 유행이 확산되며 오락과 유흥이 벌어지고, 사회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했던 곳입니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씨름, 줄다리기, 윷놀이, 남사당패놀이 등의 민속행사와 별신제 같은 굿판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한국의 상업발달사에는 화폐가 시대별 발전상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부터 곡물화폐나 가죽화폐, 그리고 자모전이라는 주화가 .. 2020. 4. 30.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