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house)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 1
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글쓰기/교양에 대한 글

집(house)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 1

by 사랑의사람 2020. 5. 6.

 안녕하세요! 오늘은 집(house)에 대한 기초적인 교양 상식을 써보겠습니다.^^

 집(house)은 자연적, 사회적 침해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은 건물이며 주택이라고도 합니다. 집은 지붕, 기둥, 벽 따위와 같은 견고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풍수해나 지진과 같은 자연의 위험이나 화재, 도난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서 가족의 생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은신처 구실을 합니다. 또한 집은 가족의 생활과 건강을 유지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조명, 환기와 같은 물리적 환경 조건을 갖추고 있을뿐 아니라 외부와 가족구성원 사이의 사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공간이 구성되고 가구가 배치되어 있어 안정감을 주는 구실도 합니다.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여러 관계를 형성하는데, 이런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먹고 자는 행위 같은 필요 조건을 채우기 위한 장소를 찾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안식처이자 생활 환경인 집의 의미입니다.

 

 집은 가족이 생활하기 편한 환경을 마련하고 직장과 가사일에서 생기는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도록 만든 공간입니다. 따라서 집은 가족이 자신의 가정과 주택에 대해 소속감을 느끼고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곳이라는 포괄적인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처럼 집은 기본적으로 물리적 환경 조건과 사회심리적 환경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나라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다르게 집을 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양식도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집의 크기와 형태는 기후, 사회적 관습, 건축 방법과 건축 재료, 유행, 경제 사정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주택 양식은 지역에 따라 예전만큼 다르지는 않습니다. 건축재료와 건축 방법이 비슷해져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 양식이 점점 하나로 통일되고 있습니다.

 

 집의 크기와 형태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기후, 건축 방법, 건축재료를 들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는 북유럽과 캐나다 같이 겨울이 춥고 길기 때문에 겨울의 찬 바람을 피하고 햇볕이 많이 들 수 있도록 남향이나 동향, 서남향으로 집을 지으며, 벽을 두껍게 만듭니다. 또한 북쪽지방을 중심으로 난방시설인 온돌이 발달했습니다.

 집을 짓는 데 사용하는 재료는 오두막을 짓는 데 쓰이는 진흙과 풀에서부터 공장에서 이미 만들어져 나오는 설비까지 다양합니다. 재료는 옛날부터 이용되어온 전통적인 재료와 오늘날에 주로 쓰이는 재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재료로는 진흙, 나무, 나무 껍질, 나무의 잔가지, 덩굴식물, 풀, 나뭇잎, 돌 따위가 있고, 슬레이트, 타일, 벽돌, 모르타르, 회반죽 따위가 있습니다.

 오늘날 집을 짓는 데 주로 사용하는 재료로는 강철, 콘크리트, 시멘트, 알루미늄, 플라스틱 따위가 있습니다. 선진국에는 강철과 콘크리트로 지은 높은 건물이 아주 많습니다. 최근에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강철과 콘크리트로 지은 건물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부품을 조립해서 손쉽게 지을 수 있는 조립식 주택도 있는데, 이러한 집은 공장에서 만든 부품을 택지로 옮긴 다음 조립해 만듭니다. 따라서, 조립식 주택은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집 짓는 과정에 대해서 그리고 집의 매매와 임대, 그리고 집의 간략한 역사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